오늘은 인테리어 공사 등 목공사를 진행할 때 빠질 수 없는 목자재인
합판의 규격과 장*단점에 대해 알아보려고합니다.
합판이란 ?
작고 얇은 나무를 나뭇결에 따라 가로 세로 중첩하여 여러 겹으로 쌓으며 접착제로 압착시켜 만든 것을 말합니다
합판의 장단점은?
▶ 합판의 장점
⇒ 목재의 특성상 물성과 제작 시 건조 정도에 따라 변형이 오는데 이에 대한 결점 보완을 보완하여 변형이 적은 편입니다.
⇒ 외부나 습한 곳, 목재 자체의 강도가 높은 편이어서 벽, 천장에 시공 후 TV 등 무거운 것을 부착하는 곳에
사용하기 적합 합니다.
⇒ 합판 특유의 무늬와 색상으로 합판 자체로서 마감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▶ 합판의 단점
⇒ 합판 제작 과정 중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축하기 때문에 유해성분 방출의 우려가 있습니다.
⇒ 합판은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표면 마감은 오일스테인 등을 통하여 도장 마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⇒ 합판 위 표면에 타일을 시공할 수는 있으나 목재의 특성상 수축과 팽창을 하므로 차후에 타일이
탈락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타일 구매 시 용도에 맞는 본드를 구매하여 사용하면 하자를
줄일 수 있습니다.
합판의 규격과 표기
▶ 합판은 폭(W) * 길이(L) * 두께(T)로 표기
⇒ 온장의 표기 1220*2440*T, T*4*8등으로 표기합니다.
▶ 두께 T의 단위
두께의 단위 = MM입니다. 즉 12.5T는 12.5MM, 1.25CM입니다.
합판의 규격
▶ 4*8 (1220*2440) 일반 합판 : 2.7T, 4T 4.8T 8.5T 11.5T 14.5T 17.5T (3T 5T 9T 12T 15T 17.5T)
⇒ 오차범위 +- 내에서 자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2.7T와 3T와 같이 몇 MM의 오차가 생기며 두께를
부르는 명칭에도 오차범위 내에서 나뉘게 되지만 결론은 원하는 두께의 합판을 구매한다는 것에 초점을
맞추신다면 어떤 두께로 부르든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.
TIP 목재상에 주문 시 합판 4*8*12.5T, 12.5T*4*8 몇 장 주세요 등으로 말씀하시면 쉽게 주문할 수 있으며 수량이 많지 않으면 재단을 해주는 자재상도 있으니 원하는 사이즈로 재단하셔야 하는 일이 생기시면 사전에 재단도 함께 해주는 자재상에서 구입하시면 좋습니다.
'Re:담 Design > Interior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루 물량 산출 (0) | 2020.12.29 |
---|---|
벽지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7 |
장판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6 |
보일러 외출모드(보일러TIP) (0) | 2020.12.23 |
평,헤베 구하기(인테리어) (0) | 2020.11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