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오늘은 보일러의 용량 산출 방법, 보일러 지원금 문의처
보일러의 종류, 보일러 교체 주기, 보일러 교체 문의 시 알아두면 좋은 내용
보일러 에어빼는 방법, 보일러 TIP 등등 보일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보일러 용량 산출 공식 및 지원금 문의처
1) 20년 4월 3일부터 콘덴싱 보일러로 의무화, 의무화 이후 지원 기준 변경 문의는 각 관할 환경과 입니다.
2) 보일러 종류 : 가스, 기름, 전기, 화목, 히트, 연탄 등(보통은 가스보일러를 사용합니다)
3) 보일러 용량 산출 공식 : 실 평수 x 650(kcal/h)
2. 보일러의 종류
1) 친환경 보일러(저녹스)란?
- 초미세먼지 생성 원인인 질소 산화물 배출(20ppm이하만 친황경 마크 가능)이 적은 보일러를 뜻 합니다.
↘ 현재 보일러 교체 시 진행되는 절차 : 선 설치 → 절차 → 접수 → 지급(30일안에가능), 지자체(20만원 지원)
→ 정확한 지원금은 지자체마다 상이하므로 문의하세요
- 보조금 신청 시 필요 서류 : 견적서, 보조금 지급 요청서, 친황경 보일러 설치 확인서, 통장 사본, 개인정보 동의서
- 보조금 신청 시 사진 찍는 방법 : 기존 철거된 보일러 사진(제조 명판(모델,제조년월), 글씨 및 시공표지만 찍기)
2) 콘덴싱 보일러(상위모델만 지원o ,하위모델 지원x) : 열(잔열) 재활용(사용중 온도 적음) 절약 됌
→ 보일러 회사마다 보조금 지원되는 모델이 상이하므로 구입 할 보일러 회사에 문의하는게 정확합니다.
3) 일반보일러 : 질소 배출량 ↑, 난방비 ↑ 등
3. 보일러 교체 주기
1) 5~7년 이내 as나 교체 10년 이상 사용하기 힘들다고 합니다.
4. 보일러 교체 시 문의 사항
1) 평수에 따라 보일러 용량이 다릅니다.(현재 거주 중인 공간의 공용 면적 말하기.)
2) 기존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 제품 설명 스티커에 기재 된 공용면적 및 난방출력을 말하기.
5. 보일러 에어 빼는 방법
1) 보일러를 난방 혹은 온수로 틀어 줍니다. 자신의 온수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장갑을 낀 손으로 보일러 배관을 만져보기
(조심)!(공급라인:뜨거워지는 것이 공급라인 입니다.)
2) 공급라인에서 퇴수밸브에 호수 연결하기 연결 한 호수는 싱크대나 물통으로 물이 빠질 수 있도록 빼두기
3) 퇴수밸브를 열고 각 방의 밸브를 한 개씩 열어 에어 빼준 후 잠그고 반복
(모든 방을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에어를 빼기)
↘ 에어가 빠질때는 공기 소리가 나거나 물이 끊겨서 나옴
4) 에어를 다 뺀 후 보일러 밸브 전부 열어둔 후 가동(바닥뜨거워짐확인)
5) 보일러 교체 비용은 대략 50~100만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(보일러 회사 문의)
6. 보일러 tip
1) 상향식 = 배관에 에어참, 기기 상부에 설치. 하향식 = 에어가 안참, 기기 하부에 설치
2) 분배기 배관 1개당 1구로 계산해서 총 몇구의 온수분배기인지 알 수 있음
3) 겨울철에는 보일러 끄지 않기(영하 5도에서 보일러 동파방지 자동 실행됌)
4) 외출모드는 전원만 들어있는 상태(온도 영향 x)
5) 보일러 용량 적으면 물 동시 사용 시 미온수가 나오거나 냉수가 나옴
6) 보일러 열교환기가 순동인 것이 좋은 것임
7) 현재 쿠팡에서 판매중인 보일러중에 괜찮은 보일러 몇가지 링크 걸어두겠습니다.
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30평대 이하 보일러 20평 ~ 40평대 보일러 산업용 전기식 보일러 16평 ~ 60평대
※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.
7. 보일러비 절약
1) 온돌모드 60~65도(20~22도), 온수는 50도 이하로, 습도 40 ~ 60 맞춰주기(가습기 사용 등)
2) 1~2시간 짧은 외출은 18~22도로 설정하고 켜두고 나가기
3) 냉수 방향으로 수도꼭지 잠그기, 내부 단열(카펫,에어캡,문풍지등)
8. 난방 종류
1) 지역난방(열병합). 아파트 관리비에 요금 포함되어 나옴
- 지역 내 난방 시설(한국지역난방공사) → 각 건물 기계실의 열교환기 → 각 세대별로 공급
- 장점 : 24시간 난방, 급탕 사용 가능
- 단점 : 긍급온도가 낮아 세대별 공급 온도 달라 온도조절기 고장 우려
지역 사용량 적어지면, 세대별 부담 요금 상승 가능성 있음
2) 중앙난방
- 대단지 아파트에서 주로 사용하던 방식(아파트 관리실에서 온수 관리), 지금은 거의 없음
- 장점 : 자유로운 온수사용 가능, 개별 유지관리 필요없음
- 단점 : 세대별 조절 불가, 정해진 시간만 이용 가능
유지 관리 비용 높음, 보일러 고장 시 전 세대가 불편함을 느낌
3) 개별난방(도시가스)
- 세대별로 보일러를 직접 설치하고 관리
- 장점 : 각 세대별 사용, 사용량 만큼 요금 청구, 난방 조절 자유
- 단점 : 개인이 관리 보수 해야함
별도의 보일러실 필요, 소음 발생
9. 온수분배기
1) 교체 시기
- 소음, 난방 불량, 누수, 노후화(부식) 시 교체
- 철, 알루미늄 재질의 분배기 고장 시 : 올교체
- 청동, 황동, 스테인리스 재질의 분배기 고장 시 : 부분 교체
'Re:담 Design > Interior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합판의 규격과 장*단점 (0) | 2022.07.11 |
---|---|
마루 물량 산출 (0) | 2020.12.29 |
벽지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7 |
장판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6 |
평,헤베 구하기(인테리어) (0) | 2020.11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