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루
오늘은 도배, 장판, 보일러에 이어서 마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저두 알아가는 중이라 부족한 부분이 많겠지만, 차후에 조금 더 공부해서 부족한 부분을
채워가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마루 제조사 및 종류
1) 제조사
↳동화자연마루, 메라톤, 구정마루, kcc, LG지안, 이건마루, 한솔마루, 한샘 등
그 외에도 노브랜드 자재들도 있으니, 기호에 맞게 구매하시어 시공하시기 바랍니다.
노브랜드 자재를 선정하실 때에는 마루 합판의 품질과 합판 표면 재질의 품질을
고려하여 구매하시면 됩니다.
2) 강마루
↳ 합판 위에 고강도수지를 올리고 필름을 코팅한 제품으로 합판마루와
강화마루의 장점을 합쳐 만든 제품(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)
↳ 장점 : 마루중에 강도가 가장 좋다, 열전도율이 좋으며 소음이 적다(흡읍성이 좋음)
↳ 단점 : 마루 무늬의 자연스러움이 덜하며, 본드 시공(습식)하여 보수 공사가 어려움.
↳ 시공시 : 바닥 이물질(본드) 제거 후 시공하여야 한다.
엣지 부분과 마감선 끝 부분의 길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어려우며
시공 후에 걸레받이로 마감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.
(걸레받이로 마감하는 것이 싫으면 프로파일이라는 마감재를 사용하여도 무방)
3) 강화마루
↳ 고밀도 합판에 나무 무늬 필름을 입힌 것으로
바닥에 부직포를 깔고 그 위에 바로 마루를 시공하며
마루끼리 끼워맞추는 형식으로 시공(건식) 한다.
↳ 장점 : 가격이 저렴하다, 보수공사 용이, 강마루보다 저가,
별도의 접착제 없이 바닥재 끼리 끼워맞추는 클릭 시공
↳ 단점 : 바닥이 고르지 않으면 열전도율이 떨어지며
바닥과 강화마루 사이에 공간이 떠 있으므로 소음이 발생 할 수 있다
수분과 열에 민감해 계절에 따라 수축 팽창 현상으로 틈이 벌어질 수 있다.
두께가 얇기 때문에 노후화되면 표면이 갈라지거나 탈락한다(현재는 거의 사용안함)
4) 원목마루
↳ 합판 위에 원목(2~3mm)을 붙인 것
↳ 장점 : 원목 그대로의 모양과 무늬가 가장 잘 나타남
충격 흡수성 우수
↳ 단점 : 고가(평당 100만원 이상하는 제품도 있음)
찍힘현상 및 스크레치에 약함(표면강도가 낮음)
기후에 수축 뒤틀림(내구성)현상이 많이 일어남
난방 불가(가정용으 부적합)
5) 온돌마루
↳ 합판에 무늬목(0.2~0.3mm)을 붙인 천연 나무 표면층의 마루
↳ 단점 : 원목마루보다 찍힘이나 스크레치에 약하다.(표면 내구성이 약하다), 거의 사용 안함
2. 마루 시공
1) 통상적으로 복도 방향으로 시공(편상형, 타워형, 헤링본 시공법 등), 장방향 즉 긴방향으로 마루 시공
2) 바닥 평탄화(기존 바닥 본드등 제거), 바닥 시멘트 사충 후 바닥 표면을 샌딩하여, 평평하게 해줘야함
3) 바닥 모서리, 코너, 문틀 하부 등의 마감 부위가 깨끗하게 절단 되도록 시공하여야 함
4) 재료분리대 접합부가 매끄럽게 맞아 떨어지는지 확인하여, 단차 혹은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
시공하여야 합
3. 견적 및 물량 산출
1) 물량산출
방법 : 1-1
↳ 전용 면적 × 5%(로스)
방법 : 1-2
↳ 시공부의 가로와 세로를 전부 더 한 후 값에 로스율 15~20% 곱하여 수량을 산출
2) 자재 + 시공비(총 물량 × 금액 = 견적)
↳ 강화마루 : 5 ~7만원 / 철거비 : 2만원(평당)
↳ 강마루 : 8 ~ 12만원 / 철거비 : 2.5만원(평당)
보편적으로 강마루의 철거비가 조금 더 비싼 편이며, 바닥의 보수(크랙, 깨짐부)의 여부
그 외 현장 여건과 제조사 및 시공사에 따라 견적 금액이 다르므로, 시공시 조율하시어
공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. 추가적으로 보편적으로 시공을 많이하는 강화마루와 강마루의
견적만 기재하였습니다.
소소한 TIP 한가지 마루의 찍힘 혹 스크레치가 발생하였을 경우
메꾸미를 조색하시거나 마루의 색상과 같은 것을 구매하여 보수하시면
재시공 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'Re:담 Design > Interior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합판의 규격과 장*단점 (0) | 2022.07.11 |
---|---|
벽지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7 |
장판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6 |
보일러 외출모드(보일러TIP) (0) | 2020.12.23 |
평,헤베 구하기(인테리어) (0) | 2020.11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