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판
안녕하세요.
오늘은 장판 자재산출 및 몇가지 TI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) 장판 자재 산출
(1) 가로 × 세로 × 1.2(로스율) =제곱미터(평방) 물량
↳ 평으로 환산해서 발주 혹은 구매처에 제곱미터로 말해주면 알아서 수량 환산해 줌.
(2) 1롤당 평균 15평 ~ 20평 시공 가능하나, 제품 및 제조사별 상이
↳ 장판 제조사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함
(3) 1일 평균 ART 기준 기술자 1인 기준 25 ~ 30평 시공 가능
2) 장판의 부자재 소요량
(1) 본드
↳ 폴리우레탄 본드 : m2 당 0.4~0.45kg 소요
↳ 장판 본드(800~1000g) : 1개로 15 ~ 20m 시공 가능
(2) 용착제(장판과 장판의 이음매 붙일 때 사용하는 본드)
↳ 10~ 15M 당 1개 사용(1개 25ml)
2. 장판 두께(단위:T)와 종류
1) 장판의 두께 : 1.8T, 2.0T, 2.2T, 2.5T, 2.7T, 3.0T, 3.2T, 4.5T, 5.0T, 6.0T
↳ 장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쿠션감이 높음(충격흡수),
보온성이 높음, 소음 감소, 제품의 표면 내구성, 강도가 높음(찍힘, 긁힘 등)
(1) 1.8T는 전셋집에 많이 사용(얇으나 가격 대비 가성비 좋음
(2) 보통 2.2T ~ 3.2T를 많이 시공함(가성비)
(3) 5.0T, 6.0T 시공하기 힘들며 얇은 두께의 장판 시공비보다 비쌈,
2) 펫 장판
↳ 시공 시 장판과 장판을 겹쳐서 시공, 월세집, 오피스텔 등에 자주 시공(내구성 약함, 가격 저렴)
3) 모노륨장판
↳ 장판과 장판 사이에 이음매를 재단하여 시공(겹침 시공이 거의 없음)
전셋집, 자가주택 등에 시공,, 펫 장판에 비해 가격이 비쌈
내구성 강하여 눌리거나 꺾여도 빠른 시일 내 원상 복구됨
3. 장판 부자재
1) 장판 시공 시 필요 부자재
↳ 용착제, 장판 본드. 칼, 줄자, 철자, 재단판, 실리콘, 논슬립, 본드헤라, 굽도리(노본), 순간접착제 or 본드
↳ 친환경 제품 사용하기, 장판 색상에 맞는 실리콘, 굽도리 구매하여 사용하기
2) 용착제 장판과 장판 사이 이음매를 붙이는 본드 15M 당 1개 사용(1개 25ml)
↳ 사용 후 15초 이내에 마른 천 등으로 닦아주기
4. 장판의 장*단점
1) 장점
(1) 장판 표면 청소 및 관리 용이,
(2) 다양한 디자인, 타 바닥 마감재 보다 가격 저렴
2) 단점
(1) 장판 표면의 찢어짐(찢어지거나 찍혔을 경우 보강하기 힘듦)
(2) 장판 위에서 가열 기구 사용 시 장판 모양, 색상의 변형될 수 있음
(3) 장판의 두께가 4T 이상은 마루보다 가격이 비쌀 수 있음
(4) 무거운 물건을 올려두면 장판이 밀림
(5) 화재 시 유해물질이 발생 할 수 있음
(6) 장판 시공 바닥의 누수, 습기가 있을 경우
↳ 습기 흡수가 안되기 때문에 곰팡이, 악취가 날 수 있음
5. 장판 구입 및 시공시 TIP
1) 스팀청소기, 전열 기구 사용 시 변색, 변형될 수 있음
2) 장판 논슬립(표면 미끄럼) 방지 효과가 우수한 제품인지 고려하여 구매
3) 충격 흡수 및 소음 흡수 고려하여 구매
4) 패턴(헤링본, 타일 무늬 등) 장판을 시공하면 일반 장판보다 로스율이 증가하므로
일반 장판보다 조금 더 넉넉히 구매
5) 장판은 벽과 닿는 끝부분을 대게 꺾어 올려 마감
6) 걸레받이를 시공하지 않는(없는) 경우와 장판 끝을 꺾을 공간이 안되는 경우
↳ 시공한 장판과 같은 색의 노본을 사용하여 꺾어지는 부분을 없앤 후 실리콘으로 마감
노본은 본드재질의 양면테이프이므로 물기(습기)와 높은 온도에 약함(온도가 높으면 떨어질 수 있음)
'Re:담 Design > Interior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합판의 규격과 장*단점 (0) | 2022.07.11 |
---|---|
마루 물량 산출 (0) | 2020.12.29 |
벽지 자재 산출(TIP) (0) | 2020.12.27 |
보일러 외출모드(보일러TIP) (0) | 2020.12.23 |
평,헤베 구하기(인테리어) (0) | 2020.11.09 |
댓글